-
문제로 배우는 c언어 - 실수형과 문자형 변수 설명C언어 2020. 2. 19. 18:50
실수형 (Float)
실수형 변수의 출력
*float a; // 메모리에 a이라는 실수형 변수를 위한 공간을 만든다.
*%f로 출력한다.
-오차의 발생
float은 입력값과 출력값 사이에 오차가 발생한다.
6-7자리까지는 괜찮은데 그 이상 입력하면 출력시 입력값과 차이가 있다.
실수형변수(Doble)
자료 용량이 8byte이다. 정밀도가 높은 편.
15자리까지 커버함.
출력은 float와 마찬가지로 %f로 출력함.
실수형 변수의 나누기
(int)캐스트 연산자로 연산 결과 정수화하기
최종적으로 변수 c는 실수형이지만 대입되는 값은 3.0임
c=(int)(a/b)를 하지 않고 a/b를 괄호 밖으로 꺼내놓게 되면
나누기 보다 형변환(int)이 우선시 되어 값이 달라진다. (형변환 우선)
이 방법을 이용하여 나눗셈을 하면 소수점아래까지 알 수 있다.
실수의 소수점 자르기
11.0으로 만들고 싶으면 %와f사이에 0.1을 적는다. (소숫점 2째자리에서 반올림)
0.2나 0.3 처럼 적어서 원하는 만큼의 소수점을 구할 수 있다.
문자형 변수(Char)
크기는 1byte, 캐릭터라고 부르거나 char의 발음대로 읽는다.
문자형 변수의 출력 : %c
해당 문자의 Ascii number 출력 : %d
대문자 알파벳의 Ascii number는 65부터 90까지(25개),
소문자 알파벳의 Ascii number는 97부터 122까지(25개)이다.
A의 Ascii number: 65 Z의 Ascii number: 90 a의 Ascii number: 97 z의 Ascii number: 122 왜 대문자 뒤로 바로 소문자가 이어지지 않는건지 궁금해서
그 사잇값을 출력을 해보니 문장부호가 나왔다.
혼합연산
수학시간에 배웠던 것처럼 *곱셈이나 /나눗셈을 먼저 하게 되고
그 후에 +덧셈과 -뺄셈을 하게 된다.
*곱셈이나 /나눗셈이 여러개가 있으면, 그 중에 왼쪽에 있는 것이 우선적으로 계산된다.
3*b(b=3이므로 9)와 6/c(c=3이므로 2)가 먼저 계산되고 나서
a(a=3)+ 9 - 2 = 10
'C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문제로 배우는 c언어 - 반올림 (0) 2020.02.20 문제로 배우는 c언어 - 두 수의 합과 곱, 나누기(몫과 나머지) (0) 2020.02.20 문제로 배우는 c언어 - scanf()와 나머지 연산자, 증감연산자 설명 (0) 2020.02.20 문제로 배우는 c언어- 정수형 변수와 그 크기 설명 (0) 2020.02.19 정수와 실수, 변수와 상수/ 연산 (0) 2020.02.08